요즘 만드는 음악영상들이 대부분 위 화면과 같이....
발생한 문제
동영상에 대한 저작권 침해신고는
채널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는 저작권 경고가 아닙니다.
저작권 신고는 아니고
저작권 침해 신고로 인해....
수익이 창출 되지는 않지만...
이는 저작권 위반 경고가 아니고
소유권 주장으로 인한 동영상이 제한되지도 않고
공개 상태도 제한이 없는 상태
근데 왜 녹색 체크 표시지...
수익 창출이 안되는게 아쉬울 뿐
그렇다고 지금까지 공들여 편집한 영상들을 다 삭제하기에는
그동안의 노력과 시간이 아까워서.. 삭제도 못하고....
그런데 여기서 궁금 한점
저기 신고자 란에
음원 회사도 아니고.. 그렇다고 가수도 아닌
저 모르는 약어들은 무엇을 뜻하는 걸까..
오늘은 저약어들이 무엇인지를 여러분들에게 알려드리고자..
이렇게 서술이 길었네요...
KOMCA_CS, FILSCAP, IPRS_CS, JASRAC, MCT_CS, CASH,
VCPMC_CS, MUST_CS, WAMI_CS
이 약어들은 각국의 음악 저작권 단체
(Performing Rights Organizations, PROs)를 의미합니다.
각 단체는 작곡가, 작사가, 음악 출판사를 대신하여
저작권을 관리하고 사용료(로열티)를 징수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음은 해당 약어들의 의미입니다.
KOMCA_CS – Korean Music Copyright Association
(한국음악저작권협회, KOMCA)
FILSCAP – Filipino Society of Composers, Authors and Publishers
(필리핀 작곡가·저작자·출판사 협회, FILSCAP)
IPRS_CS – Indian Performing Rights Society
(인도 공연권 협회, IPRS)
JASRAC – Japanese Society for Rights of Authors,
Composers, and Publishers
(일본 음악저작권협회, JASRAC)
MCT_CS – Music Copyright Thailand
(태국 음악저작권협회, MCT)
CASH – Composers and Authors Society of Hong Kong
(홍콩 작곡가 및 저작권 협회, CASH)
VCPMC_CS – Vietnam Center for Protection
of Music Copyright
(베트남 음악저작권보호센터, VCPMC)
MUST_CS – Music Copyright Society of Taiwan
(대만 음악저작권협회, MUST)
WAMI_CS – Wahana Musik Indonesia
(인도네시아 음악 협회, WAMI)
그나저나 저의 YouTube 에도.. 이제 위기가 찾아 오는 것일까요...
아직 1년이 안됬는데...
조만간 아무흔적도 없이 제 채널이 삭제되는날이 오는걸까요...
YouTube 너무 어려워
YouTube로 수익을 고액 단위로 버는 크리에티브들
처음에는 부러웠고 쉽게 돈버네.. 이런 생각이였는데
막상 YouTube를 시작해보니.....
쉬운게 아니네요...
제약도. 많고.. 저작권 문제 부터 재사용 문제에
너무나도 복잡하고 어렵네요
세상에 공짜 돈은 없는게 맞는거 같네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저작권 두번째 [저작권침해,저작권경고 에 대해] (5) | 2025.03.14 |
---|---|
광역철도 (5) | 2025.03.07 |
홈플러스 주요 이슈 (12) | 2025.03.06 |
비상계엄령 (52) | 2024.12.06 |
NAS 용량이 이제 부족하네.. (39) | 2024.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