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RMATION

유튜브 저작권 두번째 [저작권침해,저작권경고 에 대해]

by integer1004 2025. 3. 14.
728x90
  • KOMCA_CSKorean Music Copyright Association (한국음악저작권협회, KOMCA)
  • FILSCAPFilipino Society of Composers, Authors and Publishers (필리핀 작곡가·저작자·출판사 협회, FILSCAP)
  • IPRS_CSIndian Performing Rights Society (인도 공연권 협회, IPRS)
  • JASRACJapanese Society for Rights of Authors, Composers, and Publishers (일본 음악저작권협회, JASRAC)
  • MCT_CSMusic Copyright Thailand (태국 음악저작권협회, MCT)
  • CASHComposers and Authors Society of Hong Kong (홍콩 작곡가 및 저작권 협회, CASH)
  • VCPMC_CSVietnam Center for Protection of Music Copyright (베트남 음악저작권보호센터, VCPMC)
  • MUST_CSMusic Copyright Society of Taiwan (대만 음악저작권협회, MUST)
  • WAMI_CSWahana Musik Indonesia (인도네시아 음악 협회, WAMI)

이들은 각국에서 음악 저작권을 보호하고, 음악이 사용될 때 정당한 로열티가 창작자에게 지급되도록 관리하는 기관입니다. 

 
 

YouTube의 저작권 침해 신고와 저작권 위반 경고는 다르며, 각각 다른 의미와 영향을 가집니다.

1. 저작권 침해 신고 (Copyright Takedown Notice)

  • 저작권자가 자신의 저작물이 무단으로 사용되었다고 판단할 경우, YouTube에 신고하여 해당 콘텐츠의 삭제를 요청하는 것입니다.
  • 특징:
    • 저작권자의 요청에 따라 동영상이 즉시 삭제될 수 있음.
    • 신고가 3번 누적되면 채널이 삭제될 수 있음.
    • 채널 운영자는 **이의 제기 (counter notification)**를 통해 대응할 수 있음.

2. 저작권 위반 경고 (Copyright Strike)

  • 저작권 침해 신고를 통해 동영상이 삭제되면, 해당 채널에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가 부여됩니다.
  • 특징:
    • 1차 경고: 경고를 받고 YouTube에서 저작권 교육을 이수해야 함.
    • 2차 경고: 일정 기간 동안 동영상 업로드 제한이 걸릴 수 있음.
    • 3차 경고: 채널이 삭제됨.
    • 저작권 위반 경고는 90일 후 자동으로 해제되지만, 3회 누적되면 채널이 영구적으로 삭제됨.
    •  
728x90

3. Content ID 클레임과의 차이

YouTube는 Content ID 시스템을 통해 저작권 보호된 콘텐츠를 자동 감지할 수도 있습니다.

  • Content ID 클레임이 걸리면 동영상이 삭제되지 않고, 광고 수익이 원 저작권자에게 가거나 특정 국가에서 차단될 수 있음.
  • 하지만 저작권 침해 신고는 Content ID보다 더 강력한 조치로, 동영상이 완전히 삭제될 수 있음.

📌 정리

항목저작권 침해 신고저작권 위반 경고
발생 원인 저작권자가 직접 신고 신고로 인해 삭제된 경우
동영상 삭제 여부 즉시 삭제 가능 삭제됨
채널 영향 3회 누적 시 채널 삭제 3회 누적 시 채널 삭제
해결 방법 이의 제기 가능 90일 후 자동 해제 가능

즉, 저작권 침해 신고는 저작권자가 요청하는 것이고, 그 결과로 저작권 위반 경고가 부여될 수 있습니다.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나요? 😊

 

🔹 YouTube의 공식 입장
  • 저작권 침해 신고(Takedown Request) 자체만으로는 채널에 직접적인 불이익이 가지 않음.
  • 하지만 침해 신고가 받아들여져 동영상이 삭제되면, 해당 채널은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를 받을 수 있음.
  • 3번 누적되면 채널이 삭제됨.

즉, 저작권 침해 신고 = 즉시 경고 부여가 아님.
하지만 해당 신고가 승인되어 동영상이 삭제되면 저작권 위반 경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

혹시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

 

같은 저작권자 여부와 관계없이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가 3개 누적되면" 채널이 삭제됩니다.

즉,

  • 동일한 저작권자로부터 3번 신고를 받아도 채널이 삭제될 수 있음.
  • 서로 다른 저작권자에게 3번 신고를 받아도 채널이 삭제될 수 있음.
  • 저작권 침해 신고(Takedown Notice) 자체가 3개 있어도 무조건 채널 삭제가 되는 것은 아님.
    • 중요한 것은 "경고(Strike)"가 3개인지 여부!
    • 저작권 침해 신고가 있어도, 영상이 삭제되지 않으면 경고(Strike)는 없음.

🚨 예제 1: 채널 삭제되는 경우

  1. 저작권자 A가 사용자의 영상을 침해 신고 → YouTube가 이를 인정하고 영상 삭제 → 1차 저작권 위반 경고
  2. 저작권자 B가 또 다른 영상을 침해 신고 → YouTube가 인정하고 삭제 → 2차 저작권 위반 경고
  3. 저작권자 C가 세 번째 영상을 침해 신고 → 3차 저작권 위반 경고 누적 → 채널 삭제!

예제 2: 채널이 유지되는 경우

  1. 저작권자 A가 사용자의 영상을 침해 신고 → 하지만 Content ID로 해결됨 (영상 삭제 X, 수익만 저작권자에게 감)
  2. 저작권자 B가 또 다른 영상을 침해 신고 → 이의 제기를 통해 해결됨 (경고 X)
  3. 저작권자 C가 세 번째 영상을 침해 신고 → 단순한 영상 차단 조치 (경고 X)

➡ 이 경우, 3번의 침해 신고가 들어왔어도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는 발생하지 않아서 채널이 삭제되지 않음.

🔍 정리

  • "저작권 침해 신고"와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는 다름.
  •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가 3번 누적되면 채널이 삭제됨.
  • 같은 저작권자든, 다른 저작권자든 상관없이 총 3번의 경고(Strike)를 받으면 삭제됨.
  • Content ID 클레임이나 단순한 차단 조치는 경고(Strike)로 누적되지 않음.

 

🔹 저작권 위반 경고 확인 방법 (PC & 모바일)

1. YouTube 스튜디오에서 확인하기

  1. YouTube에 로그인
  2. **YouTube Studio**로 이동
  3. 왼쪽 메뉴에서 "저작권(Copyright)" 또는 "설정(Settings)" → "채널(Channel)" → "기본정보(Status and Features)" 선택
  4. 저작권 경고(Strike) 여부 확인

2. 이메일 확인하기

  • YouTube는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가 발생하면 등록된 이메일로 알림을 보냅니다.
  • 이메일 제목 예시:
    • "[YouTube] 저작권 위반 경고를 받았습니다"
    • "귀하의 동영상이 저작권 위반으로 인해 삭제되었습니다"

3. 채널 상태 확인하기

  1. YouTube 스튜디오 접속
  2. 왼쪽 메뉴에서 "설정" → "채널" → "기본정보(Status and Features)"
  3.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 수 확인

🚨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와 관련된 표시

  • 0개 경고(문제 없음) → 정상 상태
  • 1개 경고 → 경고 메시지 표시 + 유튜브에서 저작권 교육 필요
  • 2개 경고 → 일정 기간 동안 영상 업로드, 라이브 스트리밍 제한
  • 3개 경고 → 채널 삭제 🚫

📌 주의할 점

  • 저작권 위반 경고는 90일 후 자동 해제됨.
  • 하지만 3번 누적되면 해제 여부와 상관없이 채널 삭제됨.

YouTube에서 저작권 침해 신고를 해결하는 방법은 몇 가지가 있습니다.


1. 이의 제기 (Counter Notification) – 부당한 신고일 경우

신고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하면 "이의 제기(Counter Notification)"를 제출할 수 있습니다.

📌 이의 제기 방법

  1. YouTube Studio에 로그인
  2. 왼쪽 메뉴에서 "콘텐츠(Content)" 선택
  3. 삭제된 동영상을 찾고 "세부정보(Details)" 클릭
  4. "이의 제기 제출(Submit Counter Notification)" 버튼 클릭
  5. 양식을 작성하고 제출

🔍 이의 제기 주의사항

  • 저작권자가 10일 이내에 소송을 제기하지 않으면 동영상이 복원됨
  • 허위 이의 제기는 법적 문제가 될 수 있음 ⚠️
  • 정당한 사용(Fair Use) 또는 직접 제작한 콘텐츠일 경우 유효

2. 저작권자에게 직접 연락하여 해결 (Retract Takedown Request)

저작권자와 직접 협의하여 침해 신고를 철회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 철회 요청 방법

  1. YouTube Studio → "저작권 경고(Strike)" 페이지에서 저작권자의 정보 확인
  2. 저작권자의 이메일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직접 연락
  3. 침해 신고 철회 요청 (Retract Takedown Request)

📌 철회 요청 예시 (영어)

Hello [저작권자 이름],
I recently received a copyright takedown notice on my YouTube video ([영상 제목 및 링크]).
I believe there might have been a misunderstanding, and I would like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retracting the claim.
Please let me know if we can resolve this. Thank you!
Best regards, [내 이름]

📌 철회 요청 예시 (한국어)

안녕하세요, [저작권자 이름]님.
제 유튜브 영상 ([영상 제목 및 링크])에 대한 저작권 침해 신고를 받았습니다.
혹시 오해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어 해당 신고를 철회할 수 있을지 논의하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내 이름]

저작권자가 철회를 승인하면 신고가 취소되고 동영상이 복구됩니다.


3. 동영상을 편집하여 다시 업로드 (저작권 콘텐츠 제거 후 재업로드)

해당 동영상이 실제로 저작권을 침해했다면, 문제 요소를 수정하여 다시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 수정 방법

  • 배경 음악이 저작권 문제라면 → YouTube의 무료 오디오 라이브러리 음악으로 교체
  • 저작권 영상이 포함되어 있다면 → 해당 부분 삭제 또는 블러 처리 후 재업로드
  • YouTube의 편집 도구를 사용하여 침해된 부분 제거

YouTube 편집 도구 사용법

  1. YouTube Studio → "콘텐츠(Content)"
  2. 저작권 문제 있는 영상 선택
  3. "편집(Edit)" → "음소거(Mute)" 또는 "잘라내기(Trim)"
  4. 저장 후 적용

4. 90일 동안 기다리기 (자동 해제)

  • 저작권 위반 경고(Strike)는 90일 후 자동 해제됩니다.
  • 하지만 3번 누적되면 채널이 삭제되므로 주의!

🚨 어떤 방법을 선택해야 할까?

상황해결 방법
부당한 신고라고 생각함 이의 제기 제출
저작권자와 협의 가능 저작권자에게 철회 요청
실제로 저작권 침해한 경우 문제 콘텐츠 삭제 후 다시 업로드
Strike 1~2개이고 기다릴 수 있음 90일 동안 기다리기

 
728x90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튜브 저작권에 대해 [ 저작권 침해신고 ]  (2) 2025.03.14
광역철도  (5) 2025.03.07
홈플러스 주요 이슈  (12) 2025.03.06
비상계엄령  (52) 2024.12.06
NAS 용량이 이제 부족하네..  (39) 2024.11.26